![]() |
금천구 시흥1동주민센터에 위치한 ‘맑은누리 작은도서관’ 내부 모습. [금천구 제공] |
[헤럴드경제=김용재 기자] 서울시가 예산 전액 삭감으로 논란이 됐던 작은도서관 지원 사업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작은도서관 지원 사업을 더욱 정교하게 설계해 추진하고자 개선 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라며 “소요 재원은 추경 예산을 통해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서울도서관을 통해 2012년 개관 후 작년까지 매년 자치구가 관리하는 작은도서관 실적을 평가해 전체의 35% 내외 도서관을 대상으로 1관당 평균 150여만원의 운영비를 지원해왔다.
그러나 올해는 성과 미흡을 이유로 관련 예산을 배정하지 않아 오세훈 시장의 시정 철학인 ‘약자와의 동행’에 어긋난다는 논란이 있었다.
서울시 보조금 심의위원회는 작은도서관이 2010년 548곳에서 2021년 904곳으로 10년여간 급격히 증가한 반면 이용자 수와 대출 권수는 제자리 수준이거나 오히려 감소해 사업 성과가 미흡하다고 판단했다.
뒤늦게 심의위 결정 내용을 보고받은 오세훈 시장은 관계 부서를 질책하고 작은도서관 사업을 계속해서 추진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상반기 중 자치구, 작은도서관, 전문가 그룹 등과 협의를 거쳐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다. 또 지역 상황을 잘 아는 자치구 중심으로 지역 환경에 맞는 협력·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의 유기적 연결도 강화할 방침이다.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해 기관별 수요와 특성화 프로그램 등 특수성을 고려한 세부 지원 방안도 마련한다.